내가 까먹을까봐 만든 블로그

전체 글

Languages/Dart(Flutter)

[Flutter] 화면 가로 너비(width)와 세로 높이(height) 알아내기(MaterialApp, Getx)

Flutter 앱 개발할 때 padding 또는 width, height 등을 고정으로 잡아놓으면 결국 다른 해상도의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때 화면이 다 깨져버린다. 프로토타입 만들 때는 고정으로 해도 되지만 실제로 배포하기 전에 각기 다른 해상도에서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비율로 지정해놓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MaterialApp 내부에서 해당 screen의 높이와 너비는 MediaQuery를 이용해 알아낼 수 있다. double width = MediaQuery.of(context).size.width double height = MediaQuery.of(context).size.height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void main() { runAp..

Computer Science/Software Engineering

OOM(Out Of Memory)

OOM(Out Of Memory)이란 사용자에게 보이는 앱의 비정상 종료는 대부분 예외 발생에 따른 Crash가 그 원인이지만, 기타 주요 원인으로는 Out Of Memory(OOM)를 들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대량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OS에 따라 해당 앱은 강제로 종료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백그라운드 또는 작동하지 않는) 앱이 우선 종료되지만, 앱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대량의 메모리를 소모하여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OS에 의해 강제로 종료된다. OOM에 의해 앱이 종료되는 경우, 앱 프로세스 내부에서 이벤트를 취득할 수 없으며, 앱 프로세스 외부에서 강제로 종료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OOM을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앱이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

Computer Science/Software Engineering

[Design Pattern] [Flutter] BLoC(Business Logic Component) Pattern이란

BLoC(Business Logic Component)  BLoC(Business Logic Component)란 UI와 Business Logic을 분리하여 만드는 방식을 의미한다. BLoC는 Flutter의 state를 관리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이며 Google 개발자에 의해 고안되었다. Flutter는 state에 따라 렌더링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태 관리는 Flutter에서 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개발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그러므로 이 BLoC Pattern은 Flutter를 위해 설계되었지만 다른 프레임워크나 언어에서도 적용 가능한 디자인 패턴이다. 예를 들어 React Native에서 setState라는 Hook을 이용해 상태를 갱신시키며 ..

Data Science/Computer Vision

[OpenCV] [python] 이미지 Flip

Flip 이미지 상하, 좌우 반전을 위해 Affine 변환 또는 remapping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간단하게 OpenCV의 flip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아래는 해당 python 소스 코드이다. import cv2 import numpy as np def FlipImage(img, type): ''' :param mode: 1은 좌우 반전, 0은 상하 반전, -1은 상하 좌우 반전 ''' result = cv2.flip(img, type) return result img = cv2.imread('brokenEgg.jpeg') updown = FlipImage(img, type=0) bilateral = FlipImage(img, type=1) both = FlipImage(img, type=-..

Data Science/Computer Vision

[OpenCV] [Python] 리매핑(Remapping)을 이용한 이미지 반전(Flip), 왜곡(Distortion) 수행

리매핑(Remapping) 리매핑(Remapping)을 이용해 이미지를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입력 이미지에 기하학적(Geometric) 변환을 적용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좀 더 자유도 있는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리매핑은 이미지에 변환 행렬 연산을 적용하는 것이 아닌, 비선형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리매핑이란 규칙성 없이 마음대로 이미지의 모양을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어파인 변환, 투시 변환을 포함한 다양한 변환을 리매핑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오른쪽 수식은 대칭 변환을 리매핑으로 표현한 것이고, 대칭 변환은 x좌표를 (가로크기 -1 -x)로 매핑하였고 y좌표는 그대로 가져온다. x가 0이면 w-1이 되어 가로 끝 좌표를 참조합니다. 따라서 좌우 대칭이 된다..

Data Science/Computer Vision

[OpenCV] [Python] Perspective Transform(원근 or 투시 변환)

투시변환(Perspective Transform)영상의 기하학적 변환 중 어파인 변환(Affine Transform)보다 자유도가 높은 투시변환(Perspective Transform)이 있다. 따라서 투시변환은 직사각형 뿐만 아니라 사다리꼴 혹은 다른 형태의 임의의 사각형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어파인 변환은 우선 원본 이미지에 3개의 점을 정하고, 이 3개 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뒤틀리게 할것인지 정한다.  반면 투시 변환은 이미지의 끝 점 4개의 이전위치와 변환 후의 위치를 알면 이동 관계를 알 수 있는데 이는 평행 사변형이 아닌 좀 더 자유로운 사각형이기 때문이다.   투시 변환은 보통 3×3 크기의 실수 행렬로 표현한다. 투시 변환은 여덟 개의 파라미터로 표현할 수 있지만, 좌표 계산의 편의상 아홉..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