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까먹을까봐 만든 블로그

전체 글

etc

[Android Studio]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뮬레이터 사이드바 고정 해제

새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면 에뮬레이터가 사이드바에 아래처럼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해결 방법이다. 상단 바에서 File > Settings > Tools > Emulator로 들어간 후 아래 빨간 박스 체크를 해제하고 Apply하면 된다. 그럼 아래처럼 다시 에뮬레이터가 사이드 바에서 탈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scode를 이용해 모바일 앱 개발을 많이 하지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도 많은 사람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IDE자체가 좀 무거워서 아래같은 밈도 많지만 리펙토링 수행에도 편리하고 이외에도 여러 기능들을 많이 제공해줘서 나는 아직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사용을 선호하게 되는 것 같다.

Data Science/Data Analysis

정형(Structured), 비정형(Unstructured), 반정형(Semi-Structured) 데이터

현재 빅데이터는 우리 삶에 깊이 녹아들게 되었고 이와 함께 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와 이해의 중요성이 더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는 과거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방대한 양의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던 상황이 새로운 기법과 방법의 등장으로 까다로웠던 비정형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새로운 기술들을 통해 이전보다 비정형 데이터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해낼 수 있다.IDC에 따르면, 2024년까지 전 세계에서 생성, 캡처, 복사 및 소비되는 데이터의 총량은 매년 149 제타바이트를 넘어설 것이며 그중 상당수는 비정형 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한다. 우리는 비정형 데이터 ..

Data Science/Data Analysis

[Python]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과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이란 차원 축소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머신러닝을 이용해 문제 해결을 시도할 때 train sample은 보통 수천 또는 수백만 개의 특성(feature)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특성들이 많으면 이 중 어떤 특성이 유의미한 요소인지 찾기 힘들고 동시에 많은 불필요한 데이터로 인해 garbage in garbage out을 경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학습 시간이 길어져 결국 연구 결과 확인까지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것을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라고 한다. 다시 말해 결국 차원을 축소하면 이..

Computer Science/Software Engineering

SDK(Software Development Ki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위젯, 모듈의 차이

개발을 진행하며 파일 구조를 설계할 때 항상 디렉토리 명과 파일 명들을 명명할 때 고민이 되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네이밍에 좀 참고하고자 해당 내용들을 정리해보았다. SDK(Software Development Kit) SDK(Software Development Kit)란 직역하자면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모음이다. SDK에는 API, IDE, 문서, 라이브러리, 코드 샘플 및 기타 유틸리티 등 다양한 개발 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는 강력한 기능 집합으로 볼 수 있다. 즉, 어떤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도구 모음을 SDK라고 한다. 그리고 이 도구엔 API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iOS SDK를 다운로드하면 개발자에게 iOS 애플리케..

Computer Science/Software Engineering

[QA 전략] 화면 흐름도(Screen Flow Diagram)와 정보 구조도(Information Architecture, IA)

화면 흐름도(Screen Flow Diagram) 화면 흐름도(Screen Flow Diagram)란 화면과 기능 단위로 유저의 사용 흐름을 도식화한 문서이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앱을 사용할 때 어떤 방식으로 구동되는지와 행동에 대한 출력 화면들을 순서도로 만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발자가 DB설계 및 프로그램 로직 설계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미지로 보기 쉽게 도식화가 되어있어 개발 지식이 부족한 기획자와의 소통의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장단점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장점 - 도식화되어 이해가 월등히 높다. - 구현자가 아닌 경영자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화살표 하나로 화면 이동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단점 - 프로젝트 일정, 파트별 진행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프..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통신] 로라(Long Range, LoRa)와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의 차이와 특징

무선 통신을 위해 BLE, WiFi 등 여러 방식이 있다. 하지만 최근 대부분의 IoT 장비는 Wifi 모듈을 이용해 공유기와 연결하고 이로 인해 망 범위는 무선공유기의 범위에 종속적인 관계가 된다. 집안 및 사무실에서 IoT 기기를 스마트폰과 연계한다면 공유기의 망 범위 내의 IoT 기기를 어디서든 부족함 없이 활용할 수 있지만 무선 공유기의 망 범위 밖의 IoT 기기는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런 문제점은 넓은 면적을 커버해야 하는 IoT 디바이스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IoT 장비는 적은 양의 데이터를 먼 거리에 전송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IoT 장비에 적용하기 좋은 통신 수단으로 LoRa와 LoRaWAN이 있다. 이 둘은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LoR..

AlienCoder
외부 저장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