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ormer 관련 논문을 읽어보다 표에서 Inductive Bias라는 항목을 보아 무엇인지 좀 더 상세히 알아보려 한다. 머신러닝 모델이 새로운 데이터를 학습할 때, 단순히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성을 Inductive Bias(귀납적 편향)이라고 한다. 즉, 모델이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합리적인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가지는 선험적 가정(Prior Assumption)이다. 쉽게 말해 학습 알고리즘에서 학습자가 아직 접하지 않은 주어진 입력의 출력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가정이다. 우선 Bias(편향)이란 어떤 것인지 먼저 살펴보자. Bias(편향)이란?Bias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또는 모델이 특정 방향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알고리즘 중 하나로, 주어진 데이터가 어떤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이진 분류 문제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며, 고차원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SVM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얼굴 인식, 손글씨 숫자 인식 등의 이미지 분류 문제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또한 스팸 메일 필터링, 감성 분석과 같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전자 데이터 분석에도 활용되는데 질병 예측, 유전자 패턴 분석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SVM이란SVM은 데이터를 가장 잘 분리할 수 있는 결정 경계(Decision Boundary)를 찾는 것이 핵심이다...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7961 해설2배수로 늘려가며 탐색해 보면 쉽게 해결된다. 0이 될 수 있는 조건은 주의해야 한다. Pythonfrom sys import stdindef magic(n: int): if n == 0: return 0 cnt = 1 cat = 1 while cat
공분산(Covariance)과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는 통계학,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금융, 경제학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데이터 분석 분야에선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피처 선택(Feature Selection)에서 상관성이 높은 변수 중 일부를 제거하여 다중공선성 문제를 방지할 때 사용된다. 현재 관심 분야인 신호 처리 및 공학 분야에선 센서 데이터 분석에서 여러 신호 간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이미지 및 음성 처리에서도 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할 때 활용된다. 공분산(Covariance)공분산에 대해 설명하기 전 분산(Variance)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분산이란 내가 가진 데이터가..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5686 해설각 치킨집의 조합을 만들어서 Brute Force를 이용하여 해결하였다. 백준이 지금 시간 기준으로 이상한건지는 모르겠지만 Python과 Java 코드 모두 제출하면 성공일 때도 있고 컴파일 에러나 런타임 에러(NZEC)가 발생할 때도 있다. 정답이었던 코드를 그대로 제출해도 이런 결과가 나와서 원인이 뭔지 찾지 못하였다. 혹시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거나 업로드한 코드에서 문제가 있는 부분을 알고 계신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Pythonfrom sys import stdindef get_distance(combination: list): total_distance = 0 for hx, hy in houses: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615 해설반복문을 이용한 완전 탐색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DFS로도 접근해보았는데 잘 해결되지 않아 방법을 바꾸어 다시 접근하였다. 6목이 되는 케이스에 대한 검사가 필요했고, directions 부분에 왔던 방향을 되돌아가지 않도록 설정하는 아이디어도 주요했던 것 같다. Pythonfrom sys import stdin# 방향: 오른쪽, 아래, 대각선(↘), 대각선(↗)directions = [(0, 1), (1, 0), (1, 1), (-1, 1)]def check_winner(row: int, col: int, direction: tuple): stone = board[row][col] depth = 1 x,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