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Data Science/Statistics

귀무가설(Null Hypothesis) vs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그리고 p-value(유의확률)

주요 개념귀무가설(Null Hypothesis)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귀무가설(H0)은 영 가설이라고도 한다. 통계학에서 처음부터 버릴 것이라 생각하고 설정하는 가설이다.반대로 대립가설(H1)은 귀무가설이 기각되었을 때 자동으로 참이 되는 가설을 뜻한다.기본적으로는 참으로 추정하고 이를 기각하기 위해서 증거가 필요하다.예를 들어 "재실자수 증가는 이산화탄소 수치의 증가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라는 귀무가설이 있다고 하자. H0 = 귀무가설,μ1 = 이산화탄소 수치,μ2 = 재실자 수 이면H0 : μ1∝1/μ2 이다. 그렇다면 이 상황에선 "재실자수 증가는 이산화탄소 수치에 영향을 끼친다."가 대립가설이 되고 이는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입증되기를 기대하는 예상이나 주장하는 내..

Data Science/Statistics

CDA(Confirmatory Data Analysis)와 EDA(Exploratory Data Analysis)를 통한 데이터 분석

CDA(Confirmatory Data Analysis)와 EDA(Exploratory Data Analysis)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2가지 방법이다.따라서 이러한 과정들을 토대로 데이터의 유의미한 패턴을 찾아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CDA(Confirmatory Data Analysis)우선 CDA(Confirmatory Data Analysis)는 확증적 데이터 분석인데 가설을 세운 후 이를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는 방식이다.목적을 가지고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하는 방법관측된 형태나 효과의 재현성 평가, 유의성 검정, 신뢰구간 추정 등 통계적 추론을 하는 단계가설검정, 보통은 설문조사, 논문에 대한 내용을 입증하는데 많이 사용 따라서 사회과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역적 방법과 같이 선이론-후조사..

AlienCoder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3 Pag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