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개념
- RIP(Router Interchange Protocol)
- DV(Distance Vector)
- Auto Summary
RIP(Router Interchange Protocol)는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DV)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거리인 홉(hop)의 개수와 홉의 방향으로 길을 찾아가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경유할 가능성이 있는 라우터를 홉수로 수치화하여 DVA(Distance Vector Algorithm)라는 알고리즘으로 인접 호스트와의 경로를 동적으로 교환하는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RIP는 30초마다 주기적으로 인접 라우터에게 자신의 정보를 광고(Advertise)한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므로 어떤 최단 경로가 차단되면 우회하여 다음 최단 경로를 찾아준다.
RIP에는 version 1과 2가 존재하는데 이 두 버전 간 차이점은 Auto Summary기능 제어 방식에 있다. Auto Summary는 자동 축약기능인데 라우팅 정보에 포함된 네트워크와 라우팅 정보가 전송되는 인터페이스의 주 네트워크가 다른 지점에서 자동 축약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트래픽이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취소시켜야 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RIP v1은 Auto Summary를 off 할 수 없고 RIP v2는 가능하다.
아래는 미리 구상된 토폴로지의 구조이다.
위 토폴로지를 토대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2. 구축
RIP의 명령은 아래와 같다.
set protocols rip network [network address/subnet mask]
set protocols rip redistribute connected
상기 명령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이 R1 라우터의 RIP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R2와 R3의 설정을 반복한다.
show protocol 명령을 통해 각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한 내용이다.
위와 같이 세팅이 완료되었다면 말단 기기로부터 다른 말단 기기로 ping이 잘 가는지 확인한다.
ping이 잘 가고 있다면 와이어샤크를 이용해서 패킷을 확인해 본다.
3. 고장 test
네트워크 명을 바꾸어 라우터 간의 연결을 끊는다. R2라우터의 10.0.0.2번 쪽 어댑터의 연결을 끊었다.
임의의 하나의 라우터가 꺼져 있어 위와 같이 ping을 전송해 네트워크가 연결이 끊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상황은 R1 네트워크에 문제를 강제로 발생시켜 10.0.0.0/24의 네트워크를 비활성화시킨 결과이다.
고장 난 직후 RIP는 목적지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를 내보내지만 Static Routing과 달리 RIP는 동적 라우팅이므로 시간이 지난 후 tracepath 명령을 통해 다른 라우터로 우회하여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 가능하다.
4. 네트워크 구성 초기화
다음 프로토콜을 테스트 해보기 위해 RIP 구성을 삭제한다.
관련 포스트
2023.01.03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 [네트워크 실습] VyOS를 이용한 라우팅 프로토콜 실습 환경 세팅